H&M Health/Health Information

신생아 황달로 대학병원 입원 원인과 치료 방법

Euning :-) 2025. 4. 1. 21:45
728x90
반응형
SMALL

아기가 태어나면 마냥 행복할 줄 알았는데, 뜻밖의 걱정거리가 생길 때가 있어요. 바로 '신생아 황달'입니다.

아기의 얼굴과 몸이 노랗게 변하는 현상으로, 많은 초보 부모들이 당황하고 걱정하는 이유 중 하나랍니다.

 

▶ 황달은 왜 생기는 걸까요? 신생아 황달은 아기의 혈액 속에 '빌리루빈'이라는 노란색 색소가 증가해서 나타나는 현상이에요. 아기가 태어나면 아직 간 기능이 충분히 성숙하지 못해 빌리루빈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거든요. 이 때문에 몸 안에 빌리루빈이 쌓이면서 피부와 눈의 흰자 부분이 노랗게 변하는 것이죠.

 

대부분의 신생아는 출생 후 며칠 안에 황달이 나타났다 사라지는 경우가 많아요. 하지만 때로는 빌리루빈 수치가 너무 높아 병원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어요.

 

▶부모님들이 집에서 신생아 황달을 예상할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이 있을까요? 집에서도 신생아 황달을 간단히 확인할 수 있어요. 자연광 아래에서 아기의 얼굴이나 흰 눈자위가 노란색으로 보이는 경우, 손가락으로 아기의 피부를 살짝 눌렀다가 뗐을 때 눌렀던 부분이 노랗게 보이면 황달을 의심해 볼 수 있답니다. 이런 증상이 발견되면 빠르게 병원에서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.

 

▶ 황달 수치는 어떻게 측정하나요? 아기의 황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병원에서는 주로 혈액검사를 통해 빌리루빈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합니다. 혈액 채취는 발뒤꿈치에서 소량의 피를 뽑아 간단하게 진행되며, 결과는 빠르면 몇 시간 이내에 알 수 있어요. 또한 피부에 센서를 대는 비침습적인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, 이는 피부를 통해 빌리루빈 수치를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입니다.

📌 빌리루빈 수치 기준 (총 빌리루빈 기준)

황달 수치 (mg/dL)상태 해석
< 5 정상 수치
5~12 생리적 황달 (정상 범위 내, 대부분 자연 소실)
> 12~15 주의가 필요한 수치 (병원 진료 권장)
> 15~20 적극적 치료 필요 (광선치료 권장)
> 20 위험 수치, 입원 치료 또는 교환수혈 고려

미숙아나 조산아의 경우, 더 낮은 수치에서도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📋 참고사항

  • 황달은 생후 2~4일경 가장 심해지고, 7~10일 이내에 호전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
  • 빌리루빈이 **뇌에 쌓일 경우 '핵황달'**이라는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어, 적절한 시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병원에서는 혈액검사 또는 피부 측정기로 이 수치를 확인합니다.

▶ 우리 아기가 대학병원에 입원하면 어떤 치료를 받을까요? 대학병원에서 아기의 황달을 치료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바로 '광선치료'입니다. 아기를 특수한 빛 아래 놓아 빌리루빈을 몸 밖으로 빠르게 배출할 수 있도록 돕는 치료법이에요. 이 빛은 아기에게 전혀 아프거나 해롭지 않아요. 아기는 눈을 보호하는 안대를 착용하고, 기저귀만 입힌 상태로 빛 아래 누워있게 됩니다.

 

보통 하루에서 길게는 며칠 동안 빛 치료를 받게 되며, 빌리루빈 수치가 안정적인 수준으로 떨어지면 치료는 중단됩니다. 치료 중 간호사와 의사 선생님들이 수시로 아기의 상태를 체크하고 빌리루빈 수치를 검사하면서 꼼꼼하게 관리해 주십니다.

 

▶ 치료 후 아기의 상태는 어떻게 될까요? 광선치료를 받은 대부분의 아기들은 수일 이내에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 범위로 떨어져 피부색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게 됩니다. 치료가 끝난 뒤에는 큰 후유증 없이 건강하게 퇴원할 수 있답니다.

 

부모님들이 신생아 황달 때문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. 치료가 간단하고, 대부분 아기들이 빠르게 호전됩니다.

신생아 황달, 너무 겁내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현명하게 대처하세요!

728x90
반응형
LIST